p-value1 추정, 1종 오류, 2종 오류, 유의확률 공부한 내용 정리 추정 추정량을 통해 모수를 추정하는 방식. 일정 신뢰수준에서 모수를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을 제시하여 추정을 합니다. 가설 대립가설(H1): 입증하여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 귀무가설(H0): 대립가설의 반대되는 가설. 귀무가설이 아리라는 증거를 데이터로부터 보임으로써 대립가설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예) 대립가설(H1): 대한민국 국민의 평균 키는 160보다 크다. 귀무가설(H0): 대한민국 국민의 평균키는 160이다. H0 귀무가설이 맞다는 가정하에 귀무가설의 확률분포를 그립니다. 그리고 추정량 (표본의 평균)이 기각역 안에 포함이 된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합니다. 기각역 a(알파)의 값은 확률이기 때문에 0부터 1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칠해진 부.. 2020. 8.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