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E1 가능도 함수 Likelyhood, 최대우도추정 MLE 공부한 내용 정리 Likelyhood 가능도 함수 확률분포함수를 통해 모수를 알 때, 확률변수의 실현값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가능도함수를 통해 확률변수의 실현값을 알 때, 모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확률분포함수와 가능도함수는 모양이 같습니다. x축이 확률변수의 축이라면 확률분포함수이며, x축이 모수(모집단의 평균, 분산)의 축이라면 가능도함수가 됩니다. 위의 가능도함수는 확률변수의 실현값을 알고 있으며, 모집단의 평균을 x축으로 하여 나타낸 함수입니다. x의 실현값이 '0' 하나 밖에 없으므로, 평균으로 0이 될 때, 가능도함수의 값이 제일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LE 최대우도추정 Likelyhood를 미분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모집단의 평균에 관한 가능성함수를 모집단의 평균으로 미분하면 .. 2020. 8. 2. 이전 1 다음